[Intro to Diffusion Models] (1) What is Diffusion?
What is Diffusion Model?
Diffusion Model을 처음 공부하고나서 연구실에서 Diffusion Model을 설명하기 위해 정리했던 내용을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많이 부족하고 세부적으로 틀릴 수 있는 내용이 있기 때문에, 언제나 지적은 환영합니다.
Diffusion Process?
Diffusion Model은 확산 과정 (Diffusion process)를 상정하고 generative modelling을 수행한다. 확산 과정이란, 어떤 기체 분자가 공기 속에서 퍼져가는 과정, 물 위에 모여있는 꽃가루들이 퍼져가는 과정을 생각하면 편하다.
Source: Wikipedia - Brownian Motion.
각 기체 분자, 꽃가루들은 우리가 말하는 샘플 (sample)에 해당하고, 그것들이 특정 위치에 존재할 확률을 묘사하는 것을 우리가 흔히 말하는 확률 분포 (probability distribution)에 해당한다.
Stochastic Differention Equation (SDE)
이 확산 과정은 주로 Stochastic Differention Equation (SDE)에 의해 묘사되는데,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띈다.
\[dx=\underbrace{f(x,t)dt}_{\text{drift term}}+\underbrace{L(x,t)w(t)dt}_{\text{diffusion term}},\\ w(t):\ \text{zero mean, whith Gaussian process}\]Source: Applied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Eq 4.1)
Gaussian process는 제자리 주변에서의 랜덤한 움직임이라고 생각하면 편한다. 위 식은 다음과 같이 $x$를 움직인다.
\[x(t)-x(t_0)=\int^t_{t_0}f(x(t),t)dt+\int^t_{t_0}L(x(t),t)w(t)dt\\ \text{usually, }t_0=0,\ 0\leq t\leq 1\]Source: Applied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Eq 4.2)
SDE에 대한 이야기는 후에 더 포스팅하는 것이 목표이고, 단순히 위 식만 놓고 보면, $x(t)$는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전체적인 움직임이 $f(x(t),t)$에 의해서 결정되며, 그 움직임의 궤적 주변에서 $L(x(t),t)$에 의해 조금씩 랜덤하게 위치가 바뀐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따라서 $f(x(t),t)$와 $L(x(t),t)$에 따라 각 시간 $t$에서의 data distribution $p(x(t))$의 형태가 결정된다.
Complex to Simple Distribution
확산에 대해 조금 더 상상해보자. 처음 시점에 꽃가루들을 아무리 복잡한 형태로 물 위에 띄워놔도, 시간이 지나면 물 위에 고르게 퍼져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움직임 역시 위 SDE 형태로 묘사되고, 그에 맞는 $f(x(t),t)$와 $L(x(t),t)$가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f(x(t),t)$와 $L(x(t),t)$를 적절히 선택하면, $p(x(0))$가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p(x(1))$를 고르게 퍼져있는, 간단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 성질은 생성 모델에서 중요하게 작동한다. 확률 분포의 세계에서 그런 간단한 상태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mathcal N(0, I)$에 해당한다. 간단하고, 샘플링도 편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생성 모델은 $z\sim \mathcal N(0,I)$로부터 복잡한 샘플 $x\sim p_{data}(x)$를 생성하려고 한다 $(z\rightarrow x, x=f_{\theta}(z))$. Diffusion Model의 경우, 위 SDE 식을 통해
\[p(x(0)):=p_{data}(x)\rightarrow p(x(1))\approx \mathcal N(0,I)\]로 바꾸고, 이 SDE를 되돌리는 방법을 학습하여
\[x(1):=z\sim \mathcal N(0,I) \rightarrow x(0)\approx x\sim p_{data}(x)\]를 샘플링한다.
Markov Process
이상적으로 확산과정은 연속 시간 (continuous time)에서 이루어지므로, $t$가 $0\rightarrow 1$로 가는 과정을 $0\leq t\leq 1$를 굉장히 많은 수의 time step, $t_{step}={1,\dots,T}\ (\text{usually, $T=1000$})$으로 쪼개어 나타낸다.
\[x_0:=x(0)\rightarrow x_1\rightarrow \cdots \rightarrow x_{T-1}\rightarrow x_T:=x(1),\ x(1)\approx z\sim \mathcal N(0,I)\]따라서, 각 state $x_t$는 이전 state $x_{0:t-1}$에 의존한다.
\[p(x_1\vert x_0) \\ p(x_2\vert x_1,x_0) \\ \vdots \\ p(x_T\vert x_{0:T-1})\]확산 과정의 중요한 성질 중 하나는 Markov Process란 것이다. 이는 즉, $ 0<s<t<u<1 $에 해당하는 time step $s, t, u$에 대해 우리가 $x(s),x(t)$를 알고 있더라도, $x(u)$의 상태는 오로지 이전 상태인 $x(t)$에만 의존한다는 것이다. 즉, 비록 샘플이 $x(s)\rightarrow x(t)\rightarrow x(u)$의 과정을 거쳐왔지만, $x(u)$는 오로지 $x(t)$에만 의존하며, 따라서 $p(x(u)\vert x(s),x(t))=p(x(u)\vert x(t))$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Diffusion Process에서 각 state는 다음처럼 묘사된다.
\[p(x_1\vert x_0) \\ p(x_2\vert x_1) \\ \vdots \\ p(x_T\vert x_{T-1})\]Diffusion Process에서 이전 state로부터 다른 state로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p(x_t\vert x_{t-1})$을 $\textit{transition kernel}$ 은 주로 gaussian distribution으로 묘사된다. 즉, $p(x_t\vert x_{t-1}):=\mathcal N(x_t\vert \mu(x_{t-1}),\Sigma(x_{t-1}))$의 형태로 묘사된다. ($\mu(x_{t-1}),\Sigma(x_{t-1})$는 gaussian distribution의 평균과 분산이 $x_{t-1}$에 의해 결정된다는 뜻이다.) 이 과정이 실제로는 $x_{t-1}$에 gaussian noise를 입히는 형태로 수행되기 때문에 $corrupt$ 시킨다고 표현한다.
Source: Wikipedia - Diffusion Model
여기서는 step 1이 x(1)에 해당하고, step이 진행될 수록 x(0)에 가까워지는 것.
Diffusion Models
이전 연구 (Feller et al., 1949)에서 Diffusion Process의 대부분의 transition kernel을 되돌리는 transition kernel들이 같은 형태의 functional form을 띈다는 것을 보였다.
즉, $p(x_t\vert x_{t-1})$이 gaussian distribution이라면, $p(x_{t-1}\vert x_t)$도 gaussian distribution으로 묘사될 수 있다는 것이다.
Diffusion Model은 이런 확산 과정의 성질을 이용하여, $p(x_t\vert x_{t-1})$을 되돌릴 수 있는 $p_\theta(x_{t-1}\vert x_t)=\mathcal N(x_{t-1}\vert \mu_\theta(x_t),\Sigma_\theta(x_t))$를 배우도록 학습한다. (Sohl-Dickstein et al., 2015).
이를 통해 Diffusion Model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묘사된다.
\[x_0:=x(0)\sim p_{data}(x)\underset{p_\theta(x_0 \vert x_1)}{\overset{p(x_1 \vert x_0)}{\rightleftarrows}} x_1 \rightleftarrows \cdots \rightarrow x_{T-1} \underset{p_\theta(x_{T-1} \vert x_{T})}{\overset{p(x_{T} \vert x_{T-1})}{\rightleftarrows}} x_T:=x(1),\ x(1)\approx z\sim \mathcal N(0,I)\]여기서, 복잡한 data distribution $p_{data}(x)$를 간단한 latent distribution $p(z):=\mathcal N(0,I)$로 바꾸는 과정, 이것을 되돌리는 과정 모두 Diffusion Process이기 때문에, data distribution을 corrupt하는 과정을 $\textit{Forward Diffusion Process}$, corrupted sample을 clean data로 되돌리는 과정을 $\textit{Reverse Diffusion Process}$라고 부른다.
마치며…
여기서는 Diffusion Model, 특히 거의 첫 논문인 DDPM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지식 위주로 정리하였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DDPM에 들어있는 수학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Leave a comment